-
DHCP - 도메인대학 수업/네트워크 2024. 11. 27. 11:10
DHCP
공유기 67포트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
동적 IP할당에 도움주는 DHCP :
(ISP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임대 시간이 생각 이상으로 길다 - 일주일 이상 유지되는 경우)
IP 주소 할당받는 과정
- Discover : Ethernet 프로토콜의 MAC주소를 브로드캐스트로 주소로 보냄
- 같은 네트워크 대역의 모든 PC들이 패킷을 받음
- 같은 네트워크에 공유기가 존재하는지 찾는 패킷
- 같은 네트워크 대역의 모든 PC들이 패킷을 받음
- Offer : 그 중에서 DHCP 서버로 동작하고 있는 서버가 있으면 응답
- 서버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혹은 유니캐스트로 응답
- Discover 로 받은 트랜잭션 아이디를 그대로 사용하여 DHCP 서버에 설정된 네트워크 대역에서 남은 IP주소중 하나 알려줌
- 서버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혹은 유니캐스트로 응답
- Request : IP 주소 할당 요청(C->S)
- 같은 네트워크 DHCP 서버가 여러개면 클라이언트는 여러개의 Offer를 받는데, 이중 하나의 IP주소를 골라 Request 패킷을 보낸다.
- ACK : IP 주소와 시간 정보(S->C)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주소 등을 재기록 :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
패킷의 변화 : IP나 TCP/UDP 의 체크섬 계산 갱신 필요
IP주소를 다른 주소로 바꿔 할당, 하나의 IP주소를 여러대의 컴퓨터가 활용 가능
포트 다중 할당방식?
정적 NAT
내부 네트워크의 각 기기에 미리 설정한 공인 IP주소를 할당하는 방식
내부 기기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할 때 항상 같은 공인 IP주소 사용(1:1대응?)
동적 NAT
내부 네트워크의 각 기기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할 때 동적으로 공인 IP주소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필요할 때 마다 공인 IP주소 목록에서 사용가능한 IP 할당 받고 응답 받으면 삭제한다.
PAT(port address translation)
외부에서는 고유 IP를, 내부에서는 고유한 포트번호 할당받아 통신하는 방식
- 외부에서는 내부 컴퓨터가 몇대인지, 어떤 ip주소를 사용하는지 전혀 알 수 없어서 해당 컴퓨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임
- 서버가 NAT이용 환경에서 사설 IP 사용 시 대상을 특정할 수 가 없다
- Port Forwarding | Port Mapping
-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를 가로지르는 동안 특정 IP~
- 직접 IP를 입력하지 않고 공유기의 공인 IP로 보냄 - 특정 포트로의 전송
-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를 가로지르는 동안 특정 IP~
Domain name
호스트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문자열 형태의 호스트 특정
DNS
도메인 네임을 관리하는 네임서버
HostName, NodeName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에게 부여되는 각각의 고유한 이름
도메인 주소를 생성하고 나면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별도의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기도 한다
- naver.com의 mail, comic은 각각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호스트 네임
- 내부망에서는 IP주소가 아닌 호스트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메인 네임, DNS
도메인 네임은 점(.)을 기준으로 계층적 분류
- Root Domina
- Top-level Domain
- Second-level Domain
- Third-level Domain
- FQDN : Fully-Qualified Domain Name
- Host Name - FQDN의 첫 번쨰 부분 : www
DNS : DN System
- 분산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관리체계
'대학 수업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구조 (2) 2024.11.20 TCP 흐름, 혼잡 제어 (1) 2024.11.13 TCP - 진행 상태와 신뢰성 확보 방안 (0) 2024.11.07 - Discover : Ethernet 프로토콜의 MAC주소를 브로드캐스트로 주소로 보냄